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손흥민도 만족한 잔디, 용인 미르스타디움, 문제는 교통

by 구기의신 2024. 9. 27.
반응형

손흥민도 만족한 잔디, 용인 미르스타디움, 문제는 교통

서론

한국 축구의 아이콘 손흥민(32, 토트넘)이 잔디 문제로 인해 서울월드컵경기장의 불만을 제기한 후, 대한축구협회는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이라크전의 장소를 서울에서 용인 미르스타디움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용인 미르스타디움의 잔디 상태, 교통 문제,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축구 팬들과 선수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용인 미르스타디움 소개

1.1. 경기장 개요

용인 미르스타디움은 2018년에 개장된 현대적인 축구 경기장으로, 3만 7155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입니다. 이 경기장은 3218억 원을 들여 건설되었으며, 그 동안 여자축구대표팀과 올림픽대표팀의 경기가 개최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수원삼성이 임시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2. 잔디 상태

손흥민이 만족할 수 있는 잔디 상태를 자랑하는 미르스타디움은 개장 이후 거의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잔디가 매우 양호합니다. 최근 수원삼성의 경기가 있었지만, 타 구장에 비하면 여전히 최상의 조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선수들이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2.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 문제

2.1. 잔디 손상 원인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잦은 폭우와 콘서트 개최 등으로 인해 잔디가 크게 손상되었습니다. 손흥민은 경기 중 잔디 상태로 인해 볼 컨트롤과 드리블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선수들의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2.2. 잔디 개선 필요성

손흥민은 "홈구장 잔디가 개선됐으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선수들이 최고의 컨디션에서 경기를 치르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잔디 상태가 좋지 않으면 기술 좋은 선수들도 제 실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합니다.

3. 교통 문제: 용인 미르스타디움의 도전

3.1. 접근성 문제

용인 미르스타디움의 가장 큰 문제는 교통입니다. 대중교통이 불편하고 도로가 좁아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용인경전철이 있지만, 기차가 한 대뿐이고 미르스타디움에 역이 없어 정차하지 않습니다. 유일한 대중교통인 버스는 배차 간격이 길어 많은 관중을 동시에 이동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3.2. 경기일 교통 혼잡

지난 8월 수원삼성의 개막전에 8370명이 관중이 몰렸지만, 경기 시작 2시간 전부터 교통이 마비되었습니다. 교통 경찰이 현장을 지휘했지만, 불법주차와 혼잡한 도로로 인해 아수라장이 됐습니다. 만약 4만 명 가까운 관중이 몰린다면, 용인 일대는 ‘교통지옥’이 될 것이 자명합니다.

3.3. 인프라 부족

용인시는 대형 구장을 건설하는 데 있어 인프라가 부족한 장소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가 열리는 날 임시주차장과 셔틀버스를 운영했지만, 갑작스러운 관중 수에 대해 충분히 대응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대형 경기를 개최할 때 심각한 도전이 될 것입니다.

4. 손흥민의 영향력

4.1. A대표팀의 흥행력

손흥민이 뛰는 A대표팀 경기는 막대한 흥행력을 자랑합니다. 6만 석 규모의 경기장도 금방 매진시킬 정도로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도 4만 명 가까운 관중이 몰릴 것임을 의미합니다.

4.2. 관중 경험

구장의 잔디가 좋더라도 교통 문제로 인해 팬들의 경기 관람 경험이 저하된다면, 이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손흥민을 비롯한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도 팬들이 불편함을 느낀다면, 이는 축구에 대한 열정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5. 결론

용인 미르스타디움은 잔디 상태가 좋지만 교통 문제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손흥민의 요구에 따라 장소 변경이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향후 큰 규모의 경기를 개최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입니다. 경기장의 잔디가 선수들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더라도, 팬들이 편안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용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지역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반응형